잠수기 어업인이 꼭 확인해야 할 건강이상
잠수기 어업인은 수중의 높은 압력을 견뎌야 하고, 적절한 감압을 방해하는 건강문제가 없어야 합니다. 잠수는 육체적으로도 고된 작업이므로, 높은 수준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이 필요합니다. 질병과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잠수기 어업인이 미리 확인해야 할 건강문제를 알아봅니다.
고막 안쪽의 공간인 중이는 폐쇄되어 있는 공간입니다. 이 공간은 유스타기오관을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침을 삼킬 때 관이 열리면서 외부의 공기와 평형을 유지합니다. 머리뼈 내부에 있는 부비강도 외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잦은 감기로 부비강의 점막이 비후되어 통로가 막히면 내부에 액체가 고이면서 부비동염이 생기기도 합니다. 그런데 이러한 구조에 변형, 손상, 부종, 용종이나 낭종과 같은 문제가 있을 경우, 폐쇄된 공간이 생기면서 잠수작업 시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이 공간은 깊은 곳으로 잠수할 때 압력이 증가하고, 수면으로 상승할 때 압력이 감소하면서 통증을 일으키거나 압력에 의해 손상될 수 있습니다. 특히 중이가 폐쇄된 상태에서 압력평형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고막, 달팽이관, 전정기관을 손상시킬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청력이 손실되거나 심한 어지러움이 생길 수 있죠.
감기와 같은 가벼운 질환도 점막을 붓게 하여 관을 폐쇄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증상이 있다면 잠수작업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잠수 전에 코를 막고 가볍게 숨을 내쉬어 압력을 맞추는 발살바법을 통해 압력균형이 적절하게 이루어지는지 확인해보는 것도 필요합니다.
호흡기질환 중에 폐에 공기주머니를 형성하거나, 기관지에 부종과 염증이 있으면, 잠수작업시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잠 작업 후 수면으로 상승할 때 폐 내부공기가 팽창하면서 폐쇄된 공기낭종이 터지는 상황입니다. 폐포가 파열되면서 폐의 공기가 흉곽으로 새어나오면 기흉이 발생합니다. 기흉은 흉곽안으로 새어나온 공기가 심장과 폐를 압박하면서 호흡곤란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또한 낭종이 터지면서 폐포가 파열되면 공기가 폐혈관으로 들어갈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공기방울이 동맥혈관으로 들어가 뇌, 심장의 혈류를 차단하여 뇌졸중이나 심근경색과 같은 증상이 유발할 수 있습니다.
천식은 기관지가 과민반응에 의해 좁아지는 질환입니다. 잠수 중 차가운 공기, 습기, 운동이나 스트레스에 의해 천식발작이 유발될 수 있습니다. 기관지확장증이 있을 경우 기관지 분비물이 많거나 감염증이 함께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상태로 수중작업을 하던 중 분비물에 의해 기관지가 막히고, 공기가 폐내부에 갇혀 있는 상태에서 상승 하게 되면, 갇힌 공간의 공기가 팽창하면서 폐포가 파열될 수 있습니다.
관상동맥질환은 심장에 산소와 영양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이 동맥경화로 좁아지거나 막히는 질환입니다. 만약 관상동맥질환이 있는 상태에서 잠수를 하게 되면 심근경색이나 심정지와 같은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관상동맥질환으로 인해 심장으로 원활한 혈류공급이 어려운 가운데, 잠수 중 신체활동으로 인해 산소요구량이 증가하면 충분한 산소를 공급하지 못하여 협심증발작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차가운 물에 노출되면 말초혈관이 수축하여 심장부담이 커지고, 주변압력의 증가에 의해 혈압이 상승하며, 혈액과 조직에 용해된 질소과 혈관의 확장이나 수축을 유발하여 심장에 추가적인 스트레스를 가할 수 있습니다.
잠수사가 불안발작에 직면하면 안전한 잠수를 유지하는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특히 불안장애 중 심각한 상태인 공황장애는 갑작스럽고 강렬한 공포와 호흡곤란, 심계항진, 땀과 떨림과 같은 신체증상이 나타나는 상태입니다. 죽음에 대한 공포, 통제 상실에 대한 두려움으로 인해 잠수작업 중 우발적인 상황에 대한 대처가 부적절할 수 있습니다. 특히 잠수환경은 밀폐된 공간, 제한된 시야, 수중생물의 공격, 물리적 압박감 때문에 공포가 촉진될 수 있습니다. 육상에서의 공황발작은 위험성이 낮지만, 수중에서 공황발작이 생기면, 호흡과다, 급격한 상승, 장비의 부적적한 사용에 의해 위험한 행동을 하게 될 수 있습니다. 심지어 공황상태에서 동료잠수사의 장비를 잡아당기거나 도움을 요청하는 과정에서 사고가 유발될 수 있습니다.
잠수기 어업인이 꼭 확인해야 할 건강이상
잠수기 어업인은 수중의 높은 압력을 견뎌야 하고, 적절한 감압을 방해하는 건강문제가 없어야 합니다. 잠수는 육체적으로도 고된 작업이므로, 높은 수준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이 필요합니다. 질병과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잠수기 어업인이 미리 확인해야 할 건강문제를 알아봅니다.
고막 안쪽의 공간인 중이는 폐쇄되어 있는 공간입니다. 이 공간은 유스타기오관을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침을 삼킬 때 관이 열리면서 외부의 공기와 평형을 유지합니다. 머리뼈 내부에 있는 부비강도 외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잦은 감기로 부비강의 점막이 비후되어 통로가 막히면 내부에 액체가 고이면서 부비동염이 생기기도 합니다. 그런데 이러한 구조에 변형, 손상, 부종, 용종이나 낭종과 같은 문제가 있을 경우, 폐쇄된 공간이 생기면서 잠수작업 시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이 공간은 깊은 곳으로 잠수할 때 압력이 증가하고, 수면으로 상승할 때 압력이 감소하면서 통증을 일으키거나 압력에 의해 손상될 수 있습니다. 특히 중이가 폐쇄된 상태에서 압력평형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고막, 달팽이관, 전정기관을 손상시킬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청력이 손실되거나 심한 어지러움이 생길 수 있죠.
감기와 같은 가벼운 질환도 점막을 붓게 하여 관을 폐쇄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증상이 있다면 잠수작업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잠수 전에 코를 막고 가볍게 숨을 내쉬어 압력을 맞추는 발살바법을 통해 압력균형이 적절하게 이루어지는지 확인해보는 것도 필요합니다.
호흡기질환 중에 폐에 공기주머니를 형성하거나, 기관지에 부종과 염증이 있으면, 잠수작업시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잠 작업 후 수면으로 상승할 때 폐 내부공기가 팽창하면서 폐쇄된 공기낭종이 터지는 상황입니다. 폐포가 파열되면서 폐의 공기가 흉곽으로 새어나오면 기흉이 발생합니다. 기흉은 흉곽안으로 새어나온 공기가 심장과 폐를 압박하면서 호흡곤란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또한 낭종이 터지면서 폐포가 파열되면 공기가 폐혈관으로 들어갈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공기방울이 동맥혈관으로 들어가 뇌, 심장의 혈류를 차단하여 뇌졸중이나 심근경색과 같은 증상이 유발할 수 있습니다.
천식은 기관지가 과민반응에 의해 좁아지는 질환입니다. 잠수 중 차가운 공기, 습기, 운동이나 스트레스에 의해 천식발작이 유발될 수 있습니다. 기관지확장증이 있을 경우 기관지 분비물이 많거나 감염증이 함께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상태로 수중작업을 하던 중 분비물에 의해 기관지가 막히고, 공기가 폐내부에 갇혀 있는 상태에서 상승 하게 되면, 갇힌 공간의 공기가 팽창하면서 폐포가 파열될 수 있습니다.
관상동맥질환은 심장에 산소와 영양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이 동맥경화로 좁아지거나 막히는 질환입니다. 만약 관상동맥질환이 있는 상태에서 잠수를 하게 되면 심근경색이나 심정지와 같은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관상동맥질환으로 인해 심장으로 원활한 혈류공급이 어려운 가운데, 잠수 중 신체활동으로 인해 산소요구량이 증가하면 충분한 산소를 공급하지 못하여 협심증발작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차가운 물에 노출되면 말초혈관이 수축하여 심장부담이 커지고, 주변압력의 증가에 의해 혈압이 상승하며, 혈액과 조직에 용해된 질소과 혈관의 확장이나 수축을 유발하여 심장에 추가적인 스트레스를 가할 수 있습니다.
잠수사가 불안발작에 직면하면 안전한 잠수를 유지하는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특히 불안장애 중 심각한 상태인 공황장애는 갑작스럽고 강렬한 공포와 호흡곤란, 심계항진, 땀과 떨림과 같은 신체증상이 나타나는 상태입니다. 죽음에 대한 공포, 통제 상실에 대한 두려움으로 인해 잠수작업 중 우발적인 상황에 대한 대처가 부적절할 수 있습니다. 특히 잠수환경은 밀폐된 공간, 제한된 시야, 수중생물의 공격, 물리적 압박감 때문에 공포가 촉진될 수 있습니다. 육상에서의 공황발작은 위험성이 낮지만, 수중에서 공황발작이 생기면, 호흡과다, 급격한 상승, 장비의 부적적한 사용에 의해 위험한 행동을 하게 될 수 있습니다. 심지어 공황상태에서 동료잠수사의 장비를 잡아당기거나 도움을 요청하는 과정에서 사고가 유발될 수 있습니다.